데이터플랫폼의최강자1 [Kafka] 0. 카프카와 MSA 현재 프로젝트에서 아키텍처로 MSA를 적용하여 개발하다보니, 카프카를 볼 일이 상당히 많다. MSA구조의 특성상 타파트 Table에 변경되는 내용을 비동기식으로 처리해야하는 상황이 많은데, 그때 쓰이는 것이 카프카이다. 하지만 내가 개발하는 부분은 카프카로 데이터를 Entity에 맵핑해서 테이블에 저장하는 부분만 개발하지 전반적인 설계는 아키텍처팀에서 담당한다. (그래도 개발하다보면 여러 상황때문에 알고싶지 않아도 구조를 알아야 개발이 가능하긴하다) 지난 몇개월 카프카를 사용해보며 MSA구조와 Miss-communication의 정수를 몸소 겪을 수 있었다. MSA라는 아키텍처는 단순 아키텍처가 아니라 이전까지 개발했던 방법론과 프로세스를 완전히 바꿔야 구현 가능한 것이기에 그 과도기에서 오는 시행착오인.. 2022. 3. 13. 이전 1 다음